위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전시장)        대지면적 3,582㎡        건축면적 751.98㎡        연면적 2,129.1㎡        건폐율 19.99%        용적률 29.18%        구조 철근콘크리트        규모 지하 2층, 지상 3층        준공연도 2024

위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전시장)
대지면적 3,582㎡
건축면적 751.98㎡
연면적 2,129.1㎡
건폐율 19.99%
용적률 29.18%
구조 철근콘크리트
규모 지하 2층, 지상 3층
준공연도 2024

Concept

부산 민주공원은 민주주의의 전당이라는 위상과 구도심의 중심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엄연히 다른공원인 중앙공원의 충혼탑이 있는 공원정도로 인지된다. 공원시설의 이용 또한 노인분들의 휴게공간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민주공원 부속시설의 건립을 통해, 공원전체의 활성화를 목표로 그 방안을 세가지로 제안한다.

 

첫 번째,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외부공간을 조성한다. 계획 대지의 외부 공간은 다양한 연령층의 시민들을 공원 내부로 유입시키는 관문의 역할을 하며, 활력을 불어넣는 외부 공간으로 기능해야 한다. 이러한 활성화 요소로는 포토존이 될 수 있는 전망 언덕, 이벤트가 일어나는 진입 광장, 휴게와 전시물을 언제든 감상할 수 있는 외부 전시 마당 등을 조성하고자 한다.

 

두 번째, 민주주의 전당으로서의 상징성부족의 보완한다. 본관인 민주항쟁기념관의 횃불탑을 들어올릴 수 없으니, 대지 내부에 강한 축이 필요했으며, 본관을 바라보는 코르텐강의 매스로 상징성을 보완하고자 한다.

 

세 번째, 주어진 프로그램을 경사지의 상황에 알맞도록 배열한다. 약 20m에 이르는 고저차는 민주공원으로의 진입에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와 하부 양방향에서 모두 내·외부 관람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배열한다면, 시민들의 동선을 자연스럽게 민주공원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활성화 방안을 통해, 민주공원순환로에서 진입하든 닥밭골 쪽에서 진입하든, 건물이 외부 공간과 연계되며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하였다. 민주주의 전당으로서의 상징성을 강화하기 위해, 메인 외부 계단과 코어 매스, 그리고 백색의 메인 매스는 외부인을 유입시키는 관문의 역할과 더불어 다양한 모임의 공간들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든 공간 요소들이 단절되지 않고 공원의 내·외부로 유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양방향 관람이 가능한 프로그램 배열을 통해 시민들의 삶 속에 스며드는 민주공원 속 부속동이 되기를 기대한다.

Perspective Render

Model

© Copyright Aic Studio. All Rights Reserved.

Privacy Preference Center